어떤 해양수산정보를 찾으세요?
해양수산정보의 가치창출 데이터 허브(VaDahub)
해양수산정보 활용지원을 위한개방데이터 제공목록 및 설명
영국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OSTIA 정보를 학습한 AI(인공지능)를 활용하여 D+1일 자료를 3분격자 기준으로 생산하여 제공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 제2조26호에 따른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 개발 및 보전 방향을 유도하고 결정하는데 필요한 특성평가대상해역을 대상으로 해양자원 및 이용에 관한 해양공간정보를 지리정보체계(G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해양공간데이터와 평가단위인 격자를 특성평가단위로 만든 것
해양공간특성평가 결과, 법적‧제도적 기준, 해양이용‧개발 및 보전수요 등을 고려하여 9개의 해양용도구역 중 어업활동구역으로 지정된 정보 제공
해양공간 의사결정에 활용 가능하도록 연안 시설물 정보와 해안선 정보를 융합하여 해안선 반경 5Km내의 시설물 분포정보를 제공
해양이용, 개발 및 보전 방향을 유도하고 결정하는데 필요한 특성평가대상해역을 대상으로 해양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해양의 특성평가 단위인 격자정보를 제공(경남지역)
해역별로 존재하는 격자 기반의지도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해양수산정보의 현황 및 개요,다양한 데이터를 쉽게 검색 가능하도록제공하는 서비스
다양한 분류체계로 데이터를 조회하고연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각 년도별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통해시공간 연속정보(재분석자료)로 생산한시범 정보 서비스
다양한 해양수산 관련기관에 산재된해양수산정보의 현황 및 해양공간과활용현황 분석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