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해양수산정보를 찾으세요?
안녕하세요. ‘해양수산 빅데이터 플랫폼'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바쁘시더라도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참여하신 분들께 추첨을 통해 100분께 음료 온라인쿠폰이 제공됩니다.
해양수산정보의 가치창출 데이터 허브(VaDahub)
해양수산정보 활용지원을 위한개방데이터 제공목록 및 설명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 제2조26호에 따른 해양공간의 지속가능한 이용, 개발 및 보전 방향을 유도하고 결정하는데 필요한 특성평가대상해역을 대상으로 해양자원 및 이용에 관한 해양공간정보를 지리정보체계(G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해양공간데이터와 평가단위인 격자를 특성평가단위로 만든 것
해양공간특성평가 결과, 법적‧제도적 기준, 해양이용‧개발 및 보전수요 등을 고려하여 9개의 해양용도구역 중 어업활동구역으로 지정된 정보 제공
해양이용, 개발 및 보전 방향을 유도하고 결정하는데 필요한 특성평가대상해역을 대상으로 해양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해양의 특성평가 단위인 격자정보를 제공(부산지역)
수산동·식물의 산란·서식환경을 보호하고, 수산자원을 육성하기 위해 해면과 인접 육역을 지정된 구역을 공간정보로 제공
영국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OSTIA 정보를 학습한 AI(인공지능)를 활용하여 D+1일 자료를 3분격자 기준으로 생산하여 제공
해역별로 존재하는 격자 기반의지도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해양수산정보의 현황 및 개요,다양한 데이터를 쉽게 검색 가능하도록제공하는 서비스
다양한 분류체계로 데이터를 조회하고연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각 년도별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통해시공간 연속정보(재분석자료)로 생산한시범 정보 서비스
다양한 해양수산 관련기관에 산재된해양수산정보의 현황 및 해양공간과활용현황 분석 모델